[5월 학력평가] 5월 학력평가 채점 결과로 본 지원 가능 대학 예상 백분위
[5월 학력평가] 5월 학력평가 채점 결과로 본 지원 가능 대학 예상 백분위
- 고3 5월 학력평가 채점 결과 분석
- 3월 학평보다 국어 쉽게, 수학 어렵게 출제
- 수학 ‘미적분’ 응시자 1.2%포인트 증가
5월 8일 시행한 경기도교육청 주관 5월 전국연합학력평가(이하 5월 학평)의 채점 결과가 5월 27일 발표됐다.
이번 5월 학평은 2025학년도 수능시험 대비 두 번째 모의시험으로, 가장 큰 관심사 중 하나는 3월 학평과 마찬가지로 국어 영역에서는 ‘화법과작문, 언어와매체’ 중 어느 과목을 선택하는 것이 유리한지, 수학 영역에서는 ‘확률과통계, 미적분, 기하’ 중 어느 과목을 선택하는 것이 유리한지를 살피는 것이 아닐까 싶다.
왜냐하면 수능시험 국어ㆍ수학 영역의 점수가 공통 과목 점수를 활용하여 선택 과목 점수를 조정하는 방식으로 산출해 선택 과목별 응시 집단의 학력 수준과 출제 난이도 등에 따라 점수의 유ㆍ불리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번 5월 학평에서 선택 과목별 원점수 평균은 수학 영역의 경우 미적분 43.05점, 기하 25.62점, 확률과통계 24.02점으로 미적분이 확률과통계보다 21.03점 높았다. 3월 학평에서는 미적분 52.33점, 확률과통계 29.41점, 기하 28.72점으로 미적분이 확률과통계보다 22.92점 높았었다.
국어 영역의 경우에는 언어와매체 68.82점, 화법과작문 56.71점으로 언어와매체가 12.11점 높았으며, 3월 학평에서도 언어와매체 59.33점, 화법과작문 50.72점으로 언어와매체가 8.61점 높았었다.
▶ 5월 학력평가 영역/과목별 원점수 평균 및 표준편차 비교
3월ㆍ5월 학평 국어ㆍ수학 영역의 선택 과목별 원점수 평균으로 미루어볼 때 국어 영역은 3월 학평보다 쉽게 출제한 것이 되고, 수학 영역은 어렵게 출제한 것이 된다.
선택 과목별 응시자 비율은 국어 영역의 경우 화법과작문 63.2%(189,868명), 언어와매체 36.1%(108,455명)로 화법과작문이 많았고, 수학 영역의 경우에는 확률과통계 51.8%(155,645명), 미적분 44.7%(134,204명), 기하 2.5%(7,474명)로 확률과통계가 가장 많았다.
3월 학평에서도 국어 영역은 화법과작문 62.2%(200,118명), 언어와매체 37.2%(119,470명)로 화법과작문이 많았고, 수학 영역의 경우에는 확률과통계 53.4%(171,761명), 미적분 43.5%(139,784명), 기하 2.3%(7,334명)로 확률과통계가 가장 많았었다.
그런데 수학 영역의 경우 미적분과 기하 응시자 비율이 3월 학평보다 1.2%포인트와 0.2%포인트 증가한 반면, 확률과통계 응시자 비율이 1.6%포인트 감소했다. 이처럼 3월 학평보다 미적분 응시자 비율이 증가한 것은 원점수 평균으로도 알 수 있듯이 미적분이 확률과통계보다 높은 성적 결과를 보인 것에 적지 않게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 5월 학력평가 수능시험 영역별 응시 인원
이에 수능시험을 주관하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시행하는 6월과 9월 수능 모의평가는 물론 11월에 시행하는 2025학년도 수능시험에서도 미적분 응시자의 비율은 지난해와 비슷하게 좀 더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국어ㆍ수학 영역의 선택 과목과 관련해서 유념해야 할 부분이 있다. 그것은 국어 영역은 자신 있는 과목으로 선택하여 집중 대비하면 되지만, 수학 영역은 대학의 지원 계열에 맞춰 인문계 모집단위 지원자는 확률과통계, 자연계 모집단위 지원자는 미적분으로의 선택을 우선적으로 염두에 두고 대비하라는 것이다.
특히 수학 영역에서 미적분이 확률과통계보다 원점수 평균이 높을 뿐만 아니라 1등급 인원도 7, 8배 많다는 이야기만을 듣고 선택 과목을 변경하지 않았으면 한다. 만약 문과 수험생으로 수학 영역이 3등급 이하라면 미적분으로의 변경은 가능한 한 고려하지 않는 것이 좋다.
그래도 변경하고자 한다면 3월ㆍ5월 학평의 미적분 문제를 시험 볼 때와 동일한 조건 속에서 모두 풀어보고 난 다음 성적 향상 가능성과 대비 정도 등을 냉정히 판단하고 정했으면 한다.
아울러 이번 5월 학평에서는 탐구 영역의 정치와법, 지구과학Ⅱ 8등급이 없는 ‘점수 블랭크’가 발생한 것과 세계사의 경우 한 문제만 틀리면 2등급이 되는 결과도 보였다. 하지만, 이러한 결과는 6월ㆍ9월 수능 모의평가는 물론 11월 수능시험에서는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출제기관에서 난이도 등을 조정하여 이런 현상이 재발하지 않도록 할 것이기 때문이다.
혹시 서울대가 정시 모집에서 수능시험 탐구 영역의 과학탐구 과목을 변환 표준점수가 아닌 성적표에 표기되는 표준점수로 반영하면서 Ⅰ+Ⅱ과목 응시자에게 가산점 3점, Ⅱ+Ⅱ과목 응시자에게 가산점 5점을 부여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선택 과목을 Ⅱ과목으로 변경하려는 수험생들도 있을 수 있을 텐데 신중하게 결정하길 권한다. 탐구 영역의 선택 과목은 자신 있는 과목으로 결정하는 것이 최선이라는 점도 잊지말자.
이번 5월학평을 지원가능한 백분위 환산 평균을 내보면 아래와 같다. 아래 표를 보고 자신의 위치를 가늠해보고 분발하는 계기로 삼도록 하자.
▶5월 학력평가 채점 결과로 본 지원 가능 예상 백분위 환산 평균(추정)
*에듀진 기사 URL: http://www.eduj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60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