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정보851 의약품 연구하는 '약학연구원' 적성 및 전망 의약품 연구하는 '약학연구원' 적성 및 전망 - 약학 분야 전문지식을 토대로 연구하는 전문직 - 관련 학과의 석사 학위 이상의 학력 필요 약학연구원은 생물체의 기관, 조직 및 생명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의약품 및 기타 물질의 효과를 연구하여 의약품을 연구·개발한다. 약학연구원은 실험용 동물을 이용해 혈액순환, 호흡, 소화 및 기타 생명작용과정 등 기관 및 조직의 기능에 관한 약품 및 기타 관련물질의 효과를 실험·연구한다. 또한 동물실험의 결과를 임상실험과 연관시켜 질병에 대한 면역이나 치료용 투약의 기준을 비교·설정한다. 인체와 관련된 연구에서는 식품방부제, 색소, 중독성 가스 및 해독물 등 인체에 흡수되는 물질을 분석하여 인체의 조직, 기관 및 생명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다. 또한 인체의 특정기관에 .. 2024. 6. 18. 하나둘 발표되는 대학 입결… 참고 시 주의점은? 하나둘 발표되는 대학 입결… 참고 시 주의점은? - 산출 기준 확인할 것, 3개년 경쟁률 확인은 필수 - 충원은 인원이 아닌, 비율로 확인 - 전형별로 다른 '교과성적' 의미 파악 대학들이 2024학년도 수시와 정시 입시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입시결과는 각 대학의 홈페이지와 대입정보포털 어디가(http://www.adiga.kr)에서 확인해 볼 수 있다. 동일한 기준으로 발표된 자료를 보고 싶다면 어디가 사이트 자료를 참고하면 되겠지만, 좀 더 다양하고 명확한 자료를 보고 싶다면 목표 대학의 홈페이지에서 입시결과를 직접 다운로드 받아 분석하길 추천한다. 입시결과를 찾은 후 그 정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결과를 해석하는 과정이 꼭 필요하다. 입시결과는 대학별로 발표하는 내용과 형식 등이 모두 다르.. 2024. 6. 14. '음악학과' 적성 및 진로는? '음악학과' 적성 및 진로는? - 언어 능력, 사고유연성 상대적으로 더 중요 - '대한민국 진로진학 가이드북' 특기·적성 체크리스트 활용시 도움 음악 전공의 석사, 박사, 교수 등 18명을 대상으로 전공 분야 만족도에 대해 조사한 결과, 약 72%가 만족한다는 답변이 나왔다. 음악 전공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만족도는 이보다 적을 수 있지만 적어도 음악 전공을 선택하는 입장에서는 상당한 만족도를 갖고 있는 전공이기도 하다. 음악 전공계열별 학업적성 순위 프로파일은 아래 표와 같으며 1순위를 기준으로 언어능력, 사고유연성이 상대적으로 더 중요하다고 응답됐고, 1-3순위를 기준으로 사고유연성, 언어능력, 공간능력이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게 응답된 학업적성 능력은 1순위에서는 수리능.. 2024. 6. 12. 중앙대 학생부종합전형 융합형과 탐구형 합격 가능 올리는 톺아보기 중앙대 학생부종합전형 융합형과 탐구형 합격 가능 올리는 톺아보기 - CAU융합형인재: 학업역량 50%, 진로역량 30%, 공동체역량 20% - CAU탐구형인재: 학업역량 40%, 진로역량 50%, 공동체역량 10% 중앙대 학생부종합전형은 학종이 생긴 이래로 쭉 2가지 전형으로 선발해왔다. 다빈치인재전형과 탐구형인재전형이다. 그것이 작년부터 CAU융합형인재와 CAU탐구형인재로 명칭으로 변경됐다. 두 전형은 하나는 서류, 다른 하나는 면접이 있는 전형으로 바뀌어오다 지금은 CAU융합형인재는 서류100%로 선발하고, CAU탐구형인재는 1단계에서 서류 100%로 선발한 다음 2단계에서 1단계 성적 70%와 2단계 성적 30%로 선발한다. 2025학년도 CAU융합형인재는 457명을 선발하고, CAU탐구형인재는 4.. 2024. 6. 10. 최상위 학생에게 필요한 탐구 활동 3단계 최상위 학생에게 필요한 탐구 활동 3단계 - ①수업 학습, ②탐구 활동(소감문 발표), ③심화 탐구 활동 - 심화 탐구에서 ‘진짜 역량’ 확인한다 학생부 기록은 시간이 갈수록 상향평준화해 간다. 따라서 현재 최상위 학생의 학생부만이 갖추고 있는 ‘탐구 활동 3단계 기록’과 ‘태도 키워드’가 다음 트렌드의 핵심 될 것으로 예상한다. 여기서 ‘탐구 활동 3단계’란 탐구활동을 수업→탐구→심화 탐구로 연결해가는 것을 말한다. 역량이 뛰어난 최상위권 학생들은 1단계 ‘수업 학습’, 2단계 ‘탐구 후 소감문 발표’에 이르는 과정을 비슷하게 밟는다. 따라서 여기까지만 봐서는 학생만이 가진 탁월성이 두드러지게 발견되지 않는다. 학생의 탁월성이 드러나는 순간은 바로 다음 3단계이다. 수업과 탐구를 통해 얻은 지식을 확.. 2024. 6. 7. [5월 학평분석] 영역별 표준점수 및 비율 분포 [5월 학평분석] 영역별 표준점수 및 비율 분포 - 수학 영역 가장 어렵게 출제되어 최고점 167점 기록 5월 8일 시행한 경기도교육청 주관 5월 전국연합학력평가(이하 5월 학평)의 채점 결과가 5월 27일 발표됐다. 선택 과목을 두고 있는 국어ㆍ수학 영역의 표준점수 최고점은 국어 영역 135점, 수학 영역 167점이었다. 3월 학평에서는 국어 영역 150점, 수학 영역 154점이었다. 그렇다고 등급별 구분 표준점수에 있어서도 국어ㆍ수학 영역의 최고점처럼 32점의 점수 차를 보이지는 않았다. 1등급의 경우는 수학 영역 141점, 국어 영역 129점으로 12점의 점수 차를 보였고, 2등급의 경우에는 수학 영역 127점, 국어 영역 124점으로 3점의 점수 차를 보였다. 하지만, 3등급의 경우에는 국어 영역.. 2024. 6. 5. 이전 1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다음